반응형


신라 43대왕 희강왕 김제륭

재위기간 2년 836~838년


희강왕이 왕위에 올랐습니다

그의 이름은 제융 悌隆


<김부식>제옹 悌顒 이라고도 한다


입니다

그는 원성대왕(신라 38대왕 원성왕)의 손자

이찬(신라 2등벼슬) 헌정


<김부식>초노라고도 한다


의 아들입니다


어머니는 포도부인 包道夫人 이다


왕비는 문목부인이니

갈문왕 김충공의 딸입니다


(갈문왕은 왕의 아버지 혹은 장인 들에게 부여됬던

명예직 왕으로 신라 국왕 아래지만

그만큼 우대하는 의미에서 내려진 관작인데

신라 초에 갈문왕직이 있다가

신라의 국왕들의 왕권이 강화되자 점차 사라지다가

신라 후기에 왕권이 약해지며 이렇게

희강왕대에 다시 등장하게 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 흥덕왕이 사망했을 때

그의 종제(사촌동생) 균정과

종제의 아들 제융이 모두 임금이 되고자 했습니다

이 때 시중(오늘날 국무총리) 김명 (훗날 신라 44대왕 민애왕 김명) 과

아찬(신라 6등벼슬) 김이홍과 아찬 배훤백 등은

제융을 지지하였고


아찬 우징은 조카 예징 및 김양과 더불어

그의 아버지 균정을 지지했습니다


그들은 동시에 대궐로 들어가 서로 싸웠고

김양은 화살에 맞아 우징 등과 함께 도주하였고

김균정은 죽었습니다


(신라 후기의 격렬한 왕위다툼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후에 제융(희강왕)이 즉위하게 된 것입니다


희강왕 2년

정월(1월) 봄

사형수 이외의 죄수들을 크게 사면했습니다


희강왕의 아버지를 익성대왕

어머니 박씨를 순성태후로 추봉했습니다


시중(오늘날 국무총리) 김명을

상대등(신라 귀족 수장직) 으로 임명하고

아찬(신라 6등벼슬) 이홍을 시중으로 삼았습니다


4월 여름

당문종은 숙위(황제를 모시는 일) 하던

왕자 김의종을 돌려 보냈습니다


(김의종은 흥덕왕의 아들인데도

뜬금없이 김제륭파와 김우징파에 밀려서

왕위를 잇지 못했고 당나라에서 생활하다

귀국하게 된 거 같습니다

이는 이미 신라 후기는 왕 중심의 전제왕정에서

귀족 중심의 귀족정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기록입니다)


아찬 김우징이

그의 아버지 균정이 피살되었다는 이유로

원망에 찬 말을 하고 다니자

김명(당시 상대등) 과 이홍(당시 시중) 등이 이를 불만스럽게 생각했습니다


5월

김우징은 자기에게 화가 미칠 것을 두려워 해서

그의 처자와 함께 황산진 黃山津 (낙동강) 어구로 도주해서

배를 타고 가서 청해진 대사 궁복(장보고)에게 의탁했습니다


6월

균정의 매부(누나나 여동생의 남편)

아찬 예징이 아찬 양순과 함께 (청해진으로) 도주해서

김우징에게 투항했습니다


당나라 문종이 숙위(황제를 모시는 직)

김충신 등에게 등급에 따라 비단을 주었습니다


희강왕 3년

정월 봄

상대등 김명과

시중 김이홍 등이 군사를 동원해서

반역하고 희강왕의 측근들을 죽였습니다


희강왕은 자신도 무사할 수 없음을 알고

궁중에서 목을 매어 자결(자살) 했습니다


그의 시호를 희강 僖康 (기쁠 희 편안 강 자인데

정말 시호와는 다른 삶을 산 인물같은데 왜 희강왕이 됬는지

의문입니다,,) 이라 하고 소산에 장사지냈습니다


<라봉봉>혼란의 왕위쟁탈전 기록이긴 한데

김우징이라는 인물, 장보고의 존재 등이 가장 큰 변수라고 할 수 있는 기록입니다


먼저 김우징일파는 흥덕왕 사후 아버지 김균정을 왕으로 밀다가

희강왕 일파에 밀려서 김균정은 사망하고

김우징은 장보고가 있는 청해진으로 도망간 상황이었고

희강왕도 얼마후 자신을 왕으로 추대한 세력에 의해

사망하는 상황인데


왜 희강왕이 김우징의 아버지를 죽였음에도

김우징을 죽이려 하지 않았냐면

일단 김균정을 죽인 세력은 희강왕 본인이 아닌

훗날 민애왕이 되는 김명의 주도가 아니었을 까 싶고


(평범하게 왕위 논의를 하다가

김균정을 살해하며 무력으로 번지게

주도한게 김명일 수도 있습니다)


이에 희강왕도 김우징에 대한 적극적인 견제보다

화해의 제스쳐를 취하며

그를 회유하려 하다가 이에 불만을 가지며 궁지에 몰려가는

김명이 반란을 일으킨게 아닐까 싶고

이에 훗날 왕이 되는 김우징 세력에 의해

희강왕 칭호를 받게 된게 아닐까 싶습니다


여기서 가장 무서운 것은

왕위 쟁탈전도 아닌

장보고의 존재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일단 그는 청해진에 있는 세력이면서도

왕급의 독자적인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고

이에 장보고에게 몸을 의탁한

김우징은 상당히 영리한 판단을 하게 된 인물 같고

이는 김유신 장군과 김춘추의 관계가 생각나기도 합니다


(김유신 = 장보고 , 김춘추 = 김우징)


반응형
Posted by 라봉봉
,